사업자등록을 할 때는 세무서를 직접 방문하거나 인터넷 홈택스에서 합니다.
세무서를 방문할 때는 아래의 사업자등록신청서를 작성하고 인터넷 홈택스에서 할 때는 [신청/제출] 화면에서 [사업자등록]을 클릭하여 진행합니다.
통신판매업의 업종코드 선택하는 방법
신청서를 작성할 때는 본인이 신청할 업종의 주업태, 주종목, 주업종코드를 기재해야 합니다.
다른 업종을 주업종으로 하고 부업종으로 통신판매업을 신청할 수도 있습니다.
통신판매업을 신청하게 되면 이 부분에서 5가지 업종으로 나누어집니다.
① 업종코드 : 525101
대분류 : 도매 및 소매업 ᅵ 세분류 : 통신판매업 ᅵ 세세분류 : 전자상거래 소매업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온라인 통신망(SNS제외)을 통해서 각종 상품을 소매하는 산업활동
상품 전자상거래 판매(오픈마켓 판매자 포함)
② 업종코드 : 525102
대분류 : 도매 및 소매업 ᅵ 세분류 : 통신판매업 ᅵ 세세분류 : 기타 통신 판매업
온라인 통신망 이외의 기타 통신수단에 의하여 각종 상품을 소매하는 산업활동
인쇄물 광고형 소매, 전화 소매, TV홈쇼핑, 카탈로그(상품안내서, catalog)형 소매, 우편 소매, 통신 판매 중개
③ 업종코드 : 525103
대분류 : 도매 및 소매업 ᅵ 세분류 : 통신판매업 ᅵ 세세분류 : 전자상거래 소매 중개업
개인 또는 소규모업체가 온라인상에서 재화나 용역을 판매할 수 있도록 중개업무를 담당하는 산업활동
소셜커머스(할인쿠폰 공동 구매형 전자상거래 중개), 전자상거래 소매중개(오픈마켓 사업자)
④ 업종코드 : 525104
대분류 : 도매 및 소매업 ᅵ 세분류 : 통신판매업 ᅵ 세세분류 : SNS마켓
블로그, 카페, 페이스북, 트위터 등 각종 SNS 채널을 이용해서 물품판매, 구매 알선, 중개 등을 통해서 수익을 얻는 산업활동
⑤ 업종코드 : 525105
대분류 : 도매 및 소매업 ᅵ 세분류 : 통신판매업 ᅵ 세세분류 : 해외직구 대행업
온라인 몰을 통해서 해외에서 구매 가능한 재화 등에 대해서 정보를 제공하고 온라인 몰 이용자의 청약을 받아 해당 재화 등을 이용자의 명의로 대리하여 구매한 후 이용자에게 전달해줌으로써 수수료를 받아 수익을 얻는 산업 활동
이 중에서 본인이 신청할 통신판매업을 선택하여 신청합니다.
* 제조 사업체가 전자상거래 방식으로 제조한 제품을 판매하는 경우에는 해당 제품 제조업으로 분류
* 도매 사업체가 전자상거래 방식으로 사업자를 대상으로 상품을 도매하는 경우에는 도매업으로 분류
* 소비자를 대상으로 직접 소매하는 일정 매장을 운영하면서 전자상거래방식으로 소매를 병향하는 경우에는 521~524로 분류
* 각종 정보 및 기타 서비스를 전자상거래 방식으로 제공하는 경우에는 서비스 유형별로 분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