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국세를 납부 할 수 있는 방법

by half-blue 2020. 4. 16.
반응형

국세를 납부 할 수 있는 방법

& 납부 증명서도 발급 


국세는 종합소득세, 부가가치세, 양도소득세, 증여세, 상속세, 법인세, 원천세, 종합부동산세, 개별소비세 등등이 있습니다. 직접 세무서에 자진 신고를 하고 받은 자진납부서로 납부를 하거나, 세무서에서 보낸 고지서의 금액을 납부하거나, 체납이 된 세금을 납부해야 할 때에 여러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방법은 크게 직접 세무서와 은행 또는 가까운 CD/ATM기계에서 납부하는 방법, 인터넷 홈택스와 인터넷지로 또는 인터넷뱅킹으로 납부하는 방법, 텔레뱅킹으로 납부하는 것으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계좌이체뿐만 아니라 카드납부, 현금납부 모두 가능합니다. 반드시 세무서에 가지 않아도 집에서도 간편하게 납부가 가능합니다. 


1. 카드로 국세를 납부하는 방법

카드로 세금을 납부하는 것은 세무서를 방문하거나, 홈택스 홈페이지, 카드로택스 홈페이지, 금융기관 CD/ATM에서 가능합니다. 


카드로 납부할 때에는 납부대행수수료라는 것이 붙습니다. 본인이 납부할 금액에 수수료를 더한 금액을 납세자가 부담해야하는 것입니다. 신용카드는 납부금액의 0.8%, 체크카드는 0.5%의 수수료가 붙습니다


그리고 신용카드로 납부할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물건을 구매할 때 처럼 카드할부가 가능합니다. 무이자할부는 신용카드회사에 따라 다르므로 확인해보셔야 합니다. 

① 세무서에 가서 카드로 납부하기

세무서에 가서 국세를 납부할 때에는 신용카드나 체크카드납부만 가능합니다. 세무서에 가면 신용카드 단말기가 설치되어 있는데요, 납부서나 고지서와 본인의 신용카드 또는 신용카드를 가지고 가면 납부할 수 있습니다. 납부 가능한 신용카드는 비씨, 신한, 삼성, 현대, 롯데, 국민, 씨티, 전북은행, 광주은행, 제주은행, 수협은행, 하나카드, 농협카드가 있습니다. 

② 홈택스에서 카드로 납부하기

홈택스 홈페이지에서는 공인인증서로 로그인을 하고 신고/납부 메뉴를 선택합니다. 왼쪽의 세금납부 중 국세납부를 선택하면 납부할 금액을 조회하는 것도 가능하고 납부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2. 계좌번호로 납부하는 방법

회계사무소에서 납부서를 받게되면 납부서에 가상계좌번호 라는 것이 나와있지 않지만, 세무서에서 납부서나 고지서를 발급받으면 가상계좌번호가 찍혀 나옵니다. 그 계좌번호로 납부할 세액을 입금하면 됩니다. 가상계좌번호에는 은행의 계좌번호도 있지만 국세계좌라는 것도 있습니다. 

① 5개의 은행 가상계좌번호로 계좌이체 하기

은행의 계좌번호는 기업, 신한, 하나, 국민, 우리은행의 가상계좌번호가 있고, 이 중에서 1개를 선택하여 납부하면 됩니다. 은행에 방문하거나 인터넷뱅킹, 모바일 뱅킹등 가상계좌로 입금 할 수 있는 방법으로 납부 가능합니다. 

② 국세계좌로 계좌이체 하기

국세계좌는 전자납부번호로 은행에서 수납이 가능하도록 국세청에서 자체적으로 개발한 수납 전용 입금 계좌라고 합니다. 이 계좌번호로 납부할 경우 모든 금융기관과 상관없이 송금 수수료가 부과되지 않습니다. 이체 시에 입금은행을 선택 할 때 은행 대신에 국세계좌를 선택하여 진행하면 됩니다. 인터넷, 모바일뱅킹, 은행, ATM기에서 이용 가능합니다. 하지만 금융기관이 운영하는 것이 아닌 편의점이나 지하철의 CD/ATM 에서는 이용이 불가합니다.  


3. 현금으로 납부하는 방법

카드나 계좌번호가 아니라 현금으로 납부하고 싶을 경우에는 가까운 은행에 납부서나 고지서를 가지고 가서 납부하면 됩니다. 


4. 납부증명서 발급 받는 방법 

본인이 납부한 국세에 대해서 증명서를 발급 받으려면 납부내역증명(납세사실증명)을 발급받으면 됩니다. 세금을 납부한 후 본인이 납부한 세목, 날짜, 금액이 입력된 증명서를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국세만 가능하며 지방세는 시군구청이나 동사무소에서 발급가능합니다. 


만약 체납된 국세를 모두 납부하고 이제는 체납이 없다는 완납 증명서를 발급받고 싶다면 납세증명서를 발급받으면 됩니다. 이 경우에도 동일하게 지방세가 아닌 국세에 대한 완납 증명서이며, 지방세는 시군구청이나 동사무소에서 발급 받아야 합니다. 


납부내역증명이나 납세증명서 모두 세무서, 홈택스 홈페이지, 손택스 어플, 무인민원발급기에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